Erc-20 알아보기


🥇Introduction
블록체인 도메인의 서버와 컨트랙트를 개발하며 주요 ERC 표준들을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이번에는 대표적인 대체가능 토큰에 대한 규칙을 정의한 ERC -20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Body
ERC-20: 이더리움 토큰의 표준을 말하다
ERC-20은 Ethereum Request for Comments 20의 줄임말이다. 쉽게 말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토큰을 만들 때 지켜야 할 규칙 세트"라고 생각하면 된다. 마치 게임을 만들 때 "점프는 스페이스바, 공격은 마우스 클릭"과 같은 규칙을 정하는 것처럼, ERC-20은 토큰이 공통적으로 가져야 할 기능을 정의하고 있다.
이 표준을 따름으로써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만든 토큰들이 지갑, 거래소, 디앱(DApp) 등과 쉽게 연동될 수 있다. 즉, "ERC-20 토큰"이라 하면,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공통된 규칙을 따르는 토큰이라는 의미이다.
ERC-20이 필요한 이유
초창기에는 각 프로젝트가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토큰을 만들었다. 문제는 지갑이나 거래소에서 새로운 토큰이 나올 때마다 이를 따로 지원해야 했다는 점이다. 이는 마치, 매번 새로운 스마트폰이 나올 때마다 충전기를 새로 구매해야 하는 것과 같은 상황이었다.
그래서 등장한 것이 ERC-20이다. 모든 토큰이 동일한 규칙을 따른다면, 하나의 시스템에서 모든 ERC-20 토큰을 쉽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ERC-20의 주요 기능
ERC-20 표준을 따르는 토큰은 다음과 같은 필수 기능을 가져야 한다.
🎯 1) 총 공급량 확인 (totalSupply)
- 해당 토큰이 총 몇 개까지 발행될 수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 2) 잔액 조회 (balanceOf)
- 특정 지갑 주소가 현재 몇 개의 토큰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조회할 수 있다.
🎯 3) 토큰 전송 (transfer)
- 한 주소에서 다른 주소로 토큰을 전송하는 기능이다. 즉, 친구에게 ERC-20 토큰을 보낼 때 사용하는 함수이다.
🎯 4) 승인 및 위임 (approve & transferFrom)
- 다른 스마트 컨트랙트나 지갑이 사용자의 토큰을 대신 사용할 수 있도록 허가하는 기능이다. 예를 들어, 탈중앙화 거래소(DEX)에서 토큰을 거래할 때 필요하다.
이 기능들 덕분에 ERC-20 토큰들은 서로 호환이 가능하며, 다양한 플랫폼에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Conclusion
앞으로도 블록체인 플랫폼개발에 필요한 자료들을 공부하며 정리할 예정 입니다.
ERC20 공식문서: OpenZeppelinDocs (ERC-20)
ERC-20 Github: Github (ERC-20)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유승완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