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드림스쿨 1주차] 네트워크 개념 및 구조 정리

1. 네트워크 개요
📌 네트워크란?
여러 개의 컴퓨터, 스마트폰, 서버, 기타 장치가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
인터넷, 사내 네트워크, 블루투스, Wi-Fi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됨.
2. 네트워크의 필요성 및 장점/단점
✅ 네트워크의 장점
빠른 정보 공유 📩 → 이메일, 메시지, 화상회의 가능
자원 공유 🖨 → 프린터, 파일 서버 같은 장치를 함께 사용
온라인 협업 👥 → 여러 사람이 동시에 작업 가능 (예: 구글 문서)
인터넷 사용 가능 🌎 → 세계 어디서든 다양한 정보 검색 가능
❌ 네트워크의 단점
보안 위험 🔓 → 해킹, 바이러스 감염 가능
장애 발생 가능 ⚠ → 서버나 네트워크가 다운되면 사용 불가
구축 비용 💰 → 네트워크 장비(공유기, 서버 등) 설치 비용 발생
속도 저하 🐢 →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하면 느려질 수 있음
3. 네트워크의 작동 원리
📦 네트워크 데이터 전송 과정
(택배 시스템에 비유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데이터 분할 → 데이터를 작은 "패킷(조각)" 단위로 나눔
주소 부여 → 목적지(아이피 주소)를 설정
전송 → 유선(케이블), 무선(Wi-Fi, 위성 등)으로 데이터 이동
수신 및 조립 → 도착지에서 다시 조립해 원래 데이터로 복구
🚗 비유:
패킷(데이터 조각) = 소포📦
IP 주소 = 집 주소🏠
라우터 = 택배 회사🚛
인터넷 망 = 도로🛣
수신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 택배 받는 사람📬
4. 네트워크 토폴로지 (구조)
네트워크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식.
📌 네트워크 토폴로지가 중요한 이유?
네트워크가 얼마나 빠르고 안정적인지 결정됨
설치 비용과 유지보수(고장 났을 때 쉽게 고칠 수 있는지) 에 영향을 줌
어디에 어떤 방식이 적절한지 선택할 수 있음
🔹 1. 스타형 (Star Topology)
중앙에 하나의 중심 장치(허브, 스위치)가 있고, 모든 장치들이 이 중심과 연결됨.
허브(Hub):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모든 연결된 장치에 뿌리는 장치. 똑똑하지 않아서 필요한 곳에만 데이터를 보내지 않고 무조건 다 보냄.
- 예: 집배원이 편지를 모든 집에 똑같이 나눠주는 것.
스위치(Switch): 허브보다 똑똑한 장치. 데이터를 필요한 장치에만 정확히 보내줌.
- 예: 집배원이 편지를 주소 보고 정확한 집에만 배달하는 것.
예시: 회사 사무실, 가정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네트워크
✅ 장점
하나의 장치가 고장 나도 네트워크 전체에는 영향 없음
문제 발생 시 원인을 쉽게 찾을 수 있음 (중앙 관리)
네트워크 확장(장치 추가)이 쉬움
❌ 단점
중심 장치(허브, 스위치)가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됨
중심 장치에 부하가 집중되면 속도가 느려질 수 있음
💡 비유: 학교 선생님(허브, 중앙)이 학생들(컴퓨터)에게 직접 정보를 주고받는 구조 📢👦👧
🔹 2. 버스형 (Bus Topology)
**하나의 긴 케이블(중앙선)**이 있고, 모든 장치가 거기에 연결됨.
데이터를 보내면, 모든 장치가 같은 케이블을 통해 공유.
예전에는 많이 사용했지만, 요즘은 거의 안 씀!
✅ 장점
설치 비용이 저렴함
작은 네트워크에서는 간단하게 구축 가능
❌ 단점
중앙선(메인 케이블)이 고장 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멈춤
여러 개의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속도가 느려짐
💡 비유: 마이크 하나를 돌려가며 발표하는 방식 🎤
- 마이크(버스 케이블) 없으면 아무도 발표 못 함!
🔹 3. 링형 (Ring Topology)
장치들이 원 모양으로 연결됨.
데이터가 한 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돌면서 전달됨.
공장 자동화 시스템(실시간 기계 제어), 기차 예약 시스템(데이터 손실 용납 x) 같은 특수한 환경에서 사용됨.
✅ 장점
네트워크 트래픽이 많아도 속도가 일정함
데이터 충돌이 적어서 신호가 깔끔함
❌ 단점
한 장치가 고장 나면 네트워크 전체가 멈출 수도 있음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는 것이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듦
💡 비유: 릴레이 경주 🏃♂️🏃♀️🏃♂️🏃♀️ → 한 사람이 넘어지면 전체가 영향을 받음!
🔹 4. 망형 (Mesh Topology)
모든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됨.
한 연결이 끊겨도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가 갈 수 있음.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ISP), 군사 및 항공 네트워크
✅ 장점
가장 안정적인 네트워크 구조 (어느 한 곳이 고장 나도 다른 경로로 데이터 전송 가능)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름
❌ 단점
설치와 유지보수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듦
장치가 많아질수록 복잡해짐
💡 비유: 거미줄 🕸 → 하나의 줄이 끊겨도 다른 줄이 있어서 전체가 유지됨!
5. 네트워크 종류 (규모에 따른 구분)
네트워크 종류 | 범위 | 예시 | 속도 | 보안 |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용 (1~10m) | 블루투스 이어폰, 스마트워치 | 빠름 | 높음 |
LAN (Local Area Network) | 한 건물 내 (수백 m) | 가정, 학교, 회사 네트워크 | 매우 빠름 | 높음 |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도시 규모 (수십 km) | 공공 Wi-Fi, 지하철 인터넷 | 중간 | 중간 |
WAN (Wide Area Network) | 국가, 전 세계 | 인터넷, 글로벌 기업 네트워크 | 느릴 수 있음 | 보안 취약 |
6. 유선 네트워크 케이블 종류
종류 | 특징 | 비유 |
동축 케이블 (Coaxial Cable) | 옛날 TV 안테나 케이블과 비슷, 신호 방해 적음 | 수도관🚰 |
이더넷 케이블 (Ethernet Cable) | 랜선(LAN), 가정/회사에서 사용 | 고속도로🚗 |
광섬유 케이블 (Fiber Optic Cable) | 빛을 이용한 초고속 전송, 장거리 가능 | KTX🚄 |
7. 무선 네트워크 방식
종류 | 특징 | 비유 |
라디오파 (Radio Wave) | Wi-Fi, 블루투스, FM 라디오 신호 | 라디오 방송📡 |
마이크로파 (Microwave) | 위성 통신, 5G, 직진성 강함 | 레이저 빔🔦 |
8. 대륙 간 네트워크 연결 방식
종류 | 특징 | 비유 |
해저 케이블 (Undersea Cable) | 바다 밑에 깔린 광섬유 케이블, 인터넷 트래픽의 99% 처리 | 바닷속 전선🌊 |
위성 인터넷 (Satellite Internet) | 인공위성을 이용한 인터넷 연결 | 무선 송신기📡 |
9. Q&A
❓ Wi-Fi는 PAN, LAN, WAN 중 어디에 속하나요?
➡ Wi-Fi 자체는 네트워크 방식이지만, 사용 범위에 따라 다름.
PAN → 스마트폰 핫스팟
LAN → 가정용 공유기 Wi-Fi
MAN → 도시 공공 Wi-Fi
❓ LAN이랑 Wi-Fi는 같은 건가요?
➡ 아니요!
LAN →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Wi-Fi → LAN을 연결하는 무선 방식
❓ WAN이 인터넷과 같은 건가요?
인터넷은 WAN의 한 종류
WAN은 국가 간의 네트워크도 포함하지만, 인터넷 외에도 기업 네트워크, 군사 네트워크 등도 포함됨.
❓ 학교의 네트워크는 LAN일까 MAN일까?
학교 한 개 건물 내 네트워크 → LAN
여러 개의 캠퍼스(서울, 대전, 부산 등) 연결 → MAN
📌 정리
✔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
✔ 토폴로지: 네트워크 연결 방식 (스타형, 버스형, 링형, 망형)
✔ 규모별 네트워크: PAN(개인) → LAN(회사) → MAN(도시) → WAN(국가)
✔ 데이터 전송 방식: 유선(광섬유, 이더넷) & 무선(Wi-Fi, 위성)
✔ 인터넷 연결: 해저 케이블(99%) + 위성(보조 역할)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KiwiChip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KiwiChip
KiwiChip
I'm currently learning Python and studying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