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어드림스쿨 1주차] Ip 주소부터 OSI 7계층까지

🏠 IP 주소란 무엇인가요?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는 인터넷에서 각 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고유 주소다.
마치 집 주소처럼, 데이터가 오고 갈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비유로 이해하기
- IP 주소 = 집 주소 🏡
데이터를 주고받는 건 택배를 주고받는 것과 같다.
택배가 목적지에 정확히 도착하려면 주소가 있어야 하듯, 인터넷 데이터도 마찬가지다.
예를 들어, 당신이 유튜브 영상을 보려고 할 때,
→ 서버는 당신의 IP 주소를 확인하고
→ 그 IP를 목적지 삼아 영상을 보내준다.
🔐 MAC 주소 vs IP 주소
MAC 주소는 기기에 내장된 물리적인 고유 식별자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상의 위치를 나타내는 논리적인 주소이다.
구분 | MAC 주소 | IP 주소 |
정의 | 장치 고유 식별자 (하드웨어 주소) | 네트워크상 위치 정보 |
고정 여부 | ✅ 항상 고정 | 🔁 바뀔 수 있음 (유동 IP) |
예시 | 00:1A:2B:3C:4D:5E | 192.168.1.100 |
비유 | 주민등록번호 👤 | 집 주소 🏠 |
같은 집(같은 IP)이라도 주민은 다를 수 있고,
같은 사람(MAC 주소)이라도 이사하면서 주소(IP)가 바뀔 수 있다.
🔍 IP 주소의 구조: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
IP 주소는 두 부분으로 나뉜다:
네트워크 주소: 기기가 소속된 네트워크를 나타냄
호스트 주소: 그 네트워크 내에서 기기를 구분
💡 비유:
서울시 강남구(네트워크)
+101호(호스트)
→ 하나의 IP 주소 = 아파트 주소
📌 예시 (IPv4 기준):192.168.1.100
→ 192.168.1
이 네트워크 주소, 100
은 호스트 주소
🛠 서브넷 마스크란?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는 IP 주소에서
어디까지가 "네트워크"이고, 어디부터가 "호스트"인지 알려주는 가림막 역할을 한다.
💡 비유:
- 서브넷 마스크 = 표지판
→ 어느 구역이 도시이고, 어느 구역이 집인지 구분함
📌 예시:
IP 주소 | 서브넷 마스크 | 네트워크 | 호스트 |
192.168.1.100 | 255.255.255.0 | 192.168.1 | 100 |
여기서 255.255.255.0
은 앞의 3부분(24비트)이 네트워크 주소라는 뜻이다.
🏢 실무 예시: 사무실 접속 제한하기
AWS에서 사내 내부 관리 서버를 운영한다고 가정하자.
이때 보안을 위해, 사무실 IP 대역에서만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 네트워크:
192.168.10.0/24
서브넷 마스크:
255.255.255.0
→ 이 설정은 192.168.10.x
대역에 속한 기기만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한한다.
외부 네트워크 접근 차단으로 보안이 향상된다.
🏷 IP 주소 클래스란?
IPv4 주소는 A~E 클래스로 나뉘는데, 이는 네트워크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클래스 | 범위 | 특징 | 예시 |
A | 0.0.0.0 ~ 127.255.255.255 | 대기업, 대형망 | 10.0.0.1 |
B | 128.0.0.0 ~ 191.255.255.255 | 중견 기업 | 172.16.0.1 |
C | 192.0.0.0 ~ 223.255.255.255 | 소규모 기업, 개인 | 192.168.1.1 |
D | 224.0.0.0 ~ 239.255.255.255 | 멀티캐스트용 | N/A |
E | 240.0.0.0 ~ 255.255.255.255 | 실험용 | N/A |
요즘은 클래스 대신 CIDR 방식을 더 많이 사용하지만, 개념 이해를 위해 여전히 유용하다.
참고사항
0.0.0.0/8 네트워크(0.0.0.0 ~ 0.255.255.255)는 특수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다.
이 범위는 "이 네트워크" 또는 기본 경로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 IPv4 vs IPv6
항목 | IPv4 | IPv6 |
주소 길이 | 32비트 | 128비트 |
주소 개수 | 약 43억 개 | 사실상 무한 |
표기 예시 | 192.168.1.1 | 3:0000:0000:8a2e:0370:7334 |
보안성 | 낮음 | 높음 (기본 보안) |
사용 여부 | 현재 대부분 사용 | 점차 확산 중 |
현재 IPv4 주소는 거의 고갈 상태이기 때문에,
점점 더 많은 시스템이 IPv6를 도입하고 있다.
🏡 사설 IP vs 🌍 공용 IP
📌 사설 IP란?
가정이나 회사에서 내부 통신에 사용하는 IP 주소
외부 인터넷에서는 직접 접근 불가
NAT를 통해 인터넷 사용 가능
대표 범위:
192.168.0.0 ~ 192.168.255.255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 공용 IP란?
전 세계 어디에서든 고유하게 식별 가능한 IP
웹사이트, 클라우드 서버 등에 사용
예시: 공공 Wi-Fi, 인터넷 서비스
🔄 NAT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내부(사설) IP를 외부(공용) IP로 변환해주는 기술이다.
💡 비유:
- 사무실 대표 전화번호 ☎️
개별 직원 번호는 외부에 공개되지 않고, 대표 번호를 통해 연결됨
도입 이유:
IPv4 주소 부족 해결
내부망 보안 강화(내부 네트워크(IP)가 숨겨져 외부 해킹 방지)
하나의 공용 IP로 여러 장치 인터넷 연결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는 어떻게 전달될까?
1️⃣ 유니캐스트 (1:1)
한 사람에게만 데이터 전송
예시: 웹서핑, 이메일
2️⃣ 멀티캐스트 (1:그룹)
특정 그룹에게만 전송
예시: Zoom 수업, IPTV
3️⃣ 브로드캐스트 (1:전체)
같은 네트워크의 모든 기기에게 전송
예시: DHCP 요청, 프린터 찾기, Wi-Fi 공유기가 모든 기기에게 IP 주소 할당 요청 시
구분 | 유니캐스트 |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
데이터 수신 대상 | 1명(기기) | 특정 그룹 | 전체 기기 |
예시 | 1:1 채팅, 웹사이트 방문 | 온라인 수업, IPTV | 전체 공지, 네트워크 설정 |
장점 | 네트워크 낭비 없음 | 필요한 사람만 받음 | 빠르고 간편함 |
단점 | 여러 명에게 보내려면 비효율적 | 그룹 설정 필요 | 네트워크 낭비 큼 |
🏗 네트워크 구조: 엣지 → 접속 → 코어
네트워크는 “**데이터가 어떻게 이동하고, 어디에서 처리되는지"**에 따라 세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뉜다.
구성 | 설명 | 예시 |
엣지(Edge) | 사용자의 기기 | 스마트폰, 노트북 |
접속 네트워크**(Access Network)** | 네트워크 접속 통로 | Wi-Fi, 유선 |
코어 네트워크**(Network Core)** | 데이터 중심 전달망 | 통신사 백본망 |
⚙ 포워딩 vs 라우팅
포워딩과 라우팅은 라우팅 알고리즘을 통해 만들어진 포워딩 테이블을 참조해 패킷의 목적지에 알맞은 포트로 패킷을 이동시키는 것이다.
포워딩: 라우터의 input으로 들어오는 패킷을 올바른 output으로 보내는 기능(포워딩 테이블을 읽어서)
라우팅: 패킷이 어디로 갈지 판단하는 과정
구분 | 포워딩 | 라우팅 |
역할 | 다음 장치로 데이터 전달 | 최적 경로 탐색 |
속도 | 빠름 | 느림 |
비유 | 신호등🚦 | 네비게이션 🗺 |
🧱 OSI 7계층과 TCP/IP 모델: 데이터가 지나가는 길
OSI 7계층
네트워크에서 데이터가 한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전달되는 과정을 표준화한 모델
계층 | 역할 | 예시 | 비유 | 데이터 단위 |
7 응용(Application Layer) | 사용자 인터페이스 | HTTP, SMTP | 메시지 작성📱 | 데이터 (Data) |
6 표현(Presentation Layer) | 암호화, 압축 | SSL, JPEG | 메시지 암호화🔐 | 데이터 (Data) |
5 세션(Session Layer) | 연결 설정 및 유지 | SSH, TLS | 통화 연결☎️ | 데이터 (Data) |
4 전송(Transport Layer) | 신뢰성 있는 전송 | TCP, UDP | 택배 포장🚚 | 세그먼트 (Segment, TCP) / 데이터그램 (Datagram, UDP) |
3 네트워크(Network Layer) | 경로 설정 및 논리 주소 지정 | IP, 라우터 | 네비게이션🗺 | 패킷 (Packet) |
2 데이터링크(Data-Link Layer) | 물리적 주소 지정, 오류 제어 | Ethernet, Wi-Fi | 아파트 동/호📍 | 프레임 (Frame) |
1 물리(Physical Layer) | 전기 신호 전달 | 케이블, Wi-Fi | 도로, 전선🚛 | 비트 (Bit) |
데이터 단위가 상위 계층에서는 '데이터'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다가, 전송 계층부터는 각각 세그먼트 → 패킷 → 프레임 → 비트로 점점 하드웨어 친화적인 단위로 쪼개지는 것을 볼 수 있다.
📌 추가 팁: 이 표는 네트워크 면접이나 자격증 공부할 때도 자주 활용된다. 기억하기 쉽도록 각 계층 이름의 앞글자를 따서 "물데네전세표응" 또는 영어로는 "Please Do Not Throw Sausage Pizza Away"라는 암기법도 있다.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4단계로 나눈 것이다(OSI 4계층이라고도 부름)
계층 | 데이터 단위 | 역할 | 포함하는 OSI 계층 | 전송 주소 |
응용 계층 (Application Layer) | DATA / Message | 응용프로그램 간 데이터 송수신 | 응용계층 + 표현계층 + 세션계층 | X |
전송 계층 (Transport Layer) | Segment / Datagram | 통신의 신뢰성 보장 (TCP) 또는 빠른 전송 (UDP)(통신 노드 간의 연결 제어 및 자료 송수신) | 전송 계층 | 포트 번호 |
인터넷 계층 (Internet Layer) | Packet | 데이터 경로 설정 및 논리적 주소 지정(네트워크상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성을 제공) | 네트워크 계층 | IP 주소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Access Layer) | Frame / Bit | 물리적 주소 지정, 신호 변환, 데이터 전송(물리적으로 데이터가 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전송되는지 정의) |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 | MAC 주소 |
💡 추가 설명:
Segment vs Datagram: TCP는 Segment, UDP는 Datagram 단위를 사용한다.
전송 주소: 전송 계층부터 주소 개념이 도입되며, 각각 포트번호 → IP주소 → MAC주소 순으로 구체적인 위치를 찾아가게 된다.
❓ 1. "OSI 7계층은 왜 필요한가요?"
👉 네트워크가 어떤 과정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지 표준화해서 서로 다른 시스템도 통신 가능하도록 만들기 위해!
❓ 2. "TCP/IP 모델과 OSI 7계층은 뭐가 달라요?"
👉 TCP/IP 모델은 실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4계층 모델, OSI 7계층은 더 세부적인 개념 정리용 모델!
❓ 3. "가장 중요한 계층은?"
👉 모두 중요하지만, 특히 많이 언급되는 계층
📡 네트워크 계층 (IP, 라우터)
🚚 전송 계층 (TCP, UDP)
📱 응용 계층 (웹, 이메일 등)
✅ 요약
IP 주소: 인터넷상의 주소
MAC 주소: 장치 고유번호
서브넷 마스크: IP 주소 분리 기준
NAT: 사설 → 공용 IP 변환
포워딩/라우팅: 데이터 이동의 핵심 메커니즘
OSI 7계층: 네트워크 작동 원리를 설명하는 모델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KiwiChip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KiwiChip
KiwiChip
I'm currently learning Python and studying RAG (Retrieval-Augmented Gene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