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반응형 모바일 헤더 vs 기본 헤더 사용 방법?🤨

송수빈송수빈
4 min read

이번 프로젝트에서 팀원 대신 헤더 퍼블리싱을 맡아서 하기로 했다 🙌🏻

이제까지 했던 프로젝트에서는 웹앱으로 구현했기 때문에 헤더 부분이 크게 다른 게 없었는데 이번에는 웹이랑 앱 UI를 완전히 다르게 디자인해서 퍼블리싱 자체도 다르게 하기로 결정!

👉🏻 (피그마) 모바일 UI

👉🏻 웹 UI

완전히 다른것을 확인할 수 있다.

//layout
import Header from '../components/web/Header'
import Footer from './../components/web/Footer'

const Layout = ({ children }) => {
  return (
    <div className='flex flex-col min-h-screen'>
      <Header />
      <main className='flex flex-col justify-center flex-1 mx-4 my-4 sm:my-10 sm:mx-10'>
        {children}
      </main>
      <Footer email='bookjob@gmail.com' />
    </div>
  )
}

export default Layout

이렇게 web header를 전체적으로 적용해준 상태이다.

📲 모바일 헤더 적용하기

🧐 고민한 부분

처음에는 useState()useEffect를 사용해서 직접 window.innerWidth를 사용해줘야하나..? 라는 고민을 했다.

이렇게 해도 되겠지만 코드가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었다..!

현재는 React + JS로 구현하고 있지만, 추후 팀원과 함께 Next.js로 전환할 계획이 있어 SSR 환경에서 초기값 차이로 인한 hydration mismatch 위험을 고려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기존 방식에 한계를 느끼고 다른 접근 방식을 고민하게 되었다.

서버 사이드 렌더링에선 window가 없기 때문에 에러 또는 UI mismatch가 발생 가능

그래서 도입한 해결책은 💡 react-responsive

여기서 useMediaQuery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 SSR 호환성

  • 자동 업데이트

  • 재사용/유지보수성

  • 테스트 용이성

장점들이 있었고..! 추후 Next.js로 전환할 계획까지 생각하면 최적의 방법이라는 생각을 했다👍🏻

//설치 명령어
yarn add react-responsive
//현재 화면이 모바일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부분을 훅으로 빼주었다
import { useMediaQuery } from 'react-responsive'

const useIsMobile = () => {
  return useMediaQuery({ maxWidth: 639 })
}

export default useIsMobile
//layout
import Header from '../components/web/Header'
import MobileHeader from '../components/app/MobileHeader'
import MobileMainHeader from '../components/app/MobileMainHeader'
import useIsMobile from '../hooks/header/useIsMobile'
import Footer from './../components/web/Footer'

const Layout = ({ children, headerType }) => {
  const isMobile = useIsMobile()

  return (
    <div className='flex flex-col min-h-screen'>
      {/* isMobile이 true일 때만 MobileHeader 또는 MobileMainHeader를 하나만 렌더링 */}
      {isMobile ? headerType === 'main' ? <MobileMainHeader /> : <MobileHeader /> : <Header />}
      <main className='flex flex-col justify-center flex-1 mx-4 my-4 sm:my-10 sm:mx-10'>
        {children}
      </main>
      <Footer email='bookjob@gmail.com' />
    </div>
  )
}

export default Layout

모바일 헤더도 모바일 메인 헤더모바일 헤더로 나누어져 있어서 … 추후에 로그인 여부에 따라 다르게 주기도 해야하겠지만 일단은 메인이랑 회원가입 로그인을 제외하고는 모바일 헤더 + label로 주는 것이 맞다고 판단해서 구분해주었다.

MainPage

처음에는 메인페이지에서 모바일 메인 헤더랑 + 모바일 헤더가 같이 랜더링이 되는 문제를 겪었다. 아무래도 첫 Layout을 팀원이 설정해줘서 길게 가지고 간 어려움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역시,, 팀원이 짠 코드도 열심히 봐야하는 것을 또 한번 느꼈다.

문제점

import { Route, Routes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outes from './routes'
import Layout from './Layout'

const AppRoutes = () => {
  return (
    <Layout>
      <Routes>
        {routes.map((route, index) => (
          <Route key={index} path={route.path} element={route.element} />
        ))}
      </Routes>
    </Layout>
  )
}

export default AppRoutes

바로 이 부분이 문제였다. Layout으로 전체를 감싸고 있어서 MainPage에서도 Layout + 적용한 헤더으로 중복 적용이 된 것

import { Route, Routes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outes from './routes'
import Layout from './Layout'

const AppRoutes = () => {
  return (
    <Routes>
      {routes.map((route, index) => {
        const isMain = route.path === '/'

        return (
          <Route
            key={index}
            path={route.path}
            element={<Layout headerType={isMain ? 'main' : undefined}>{route.element}</Layout>}
          />
        )
      })}
    </Routes>
  )
}

export default AppRoutes

headerType isMaintrue일 때 'main'을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undefined를 전달하게 해주었다.

(헤더만 봐주세요 ㅋㅋ)잘 적용된다.!!

그러면 여기서 또 메인모바일 헤더가 아니라 모바일헤더 + 각 페이지마다 label을 적용하는 방법!

import { Route, Routes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outes from './routes'
import Layout from './Layout'

const AppRoutes = () => {
  return (
    <Routes>
      {routes.map((route, index) => {
        const isMain = route.path === '/'

        return (
          <Route
            key={index}
            path={route.path}
            element={
              <Layout headerType={isMain ? 'main' : 'sub'} label={route.label}>
                {route.element}
              </Layout>
            }
          />
        )
      })}
    </Routes>
  )
}

export default AppRoutes
//routes 
 {
    path: ROUTER_PATHS.WRITE_COMMUNITY_POST,
    element: <WriteCommunityPostPage />,
    label: '자유게시판 글 등록',
  },

모바일 헤더 + label은 이렇게 routes에 label을 넣어주면 된다.

완성했다…!✨

😼 느낀점

처음엔 간단할 줄 알았지만 실제 구현은 생각보다 복잡했다. 모바일과 웹 환경에서 서로 다른 헤더를 보여주기 위해 라우트마다 분기 처리를 하고 필요한 label 값도 동적으로 넘겨야 했기 때문..!

특히 반응형 처리에서 단순히 window.innerWidth를 쓰는 게 아니라 React의 흐름에 더 맞는 방식인 react-responsive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태 변화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재사용성과 테스트 측면에서도 이점이 있다고 판단했다. 단순히 헤더를 구현하는 것도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고 선택해야 한다는 부분이 흥미로웠다. ✏️

0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송수빈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송수빈
송수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