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동작 원리

AsacKanAsacKan
2 min read

인터넷 동작 원리

  • 인터넷은 1960년대 미국의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이 되었고 차후에 한국에서 동일한 기술을 대중화 시키는데 성공한 것으로 알고 있다.

  • 먼저 처음에는 1:1 연결을 지원하는 Lan to Lan 방식이었다.

  • 그러나 pc가 N대로 늘어나 N:N으로 갈수록 라인이 많아져야되는 문제를 겪는다.

  • 이 문제 해결을 위해 라우터가 등장한다. 라우터는 각각의 pc가 라우터에 연결되고 네트워크가 원하는 목적지로 잘 갈 수 있도록 보내주는 역할을 한다.

  • A → B로 보낼 때 라우터는 A → C같이 이상한 곳으로 가지 못하게 하는 단순한 역할만 한다.

  • 이를 통해 위의 복잡한 선이 아래처럼 단순해진다.

  • 이제 우린 라우터를 무한히 확장해 모든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다.

  • 라우터 - PC, 라우터 - 라우터 연결을 만들어서 전세계 모든 PC와 통신할 수 있고 이게 바로 인터넷이다.

  • 간단히 말했지만 사실 모든 라우터에 접근할 수 있는건 아니고, 먼 지역과 연결이 되려면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를 거쳐야한다. 우리가 흔히 아는 망을 깐 KT, SKT와 같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상대 PC에게 무언가를 보내고 싶다는건 어떻게 말할 수 있을까?

IP 주소 & 도메인

  • 우리가 웹에서 접근하는 모든 사이트는 IP 주소를 가지고 이를 통해 우리가 원하는 주소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 하지만 실제로 우리는 google.com, naver.com같은 이름으로 사이트에 접속하는데 이는 domain name system을 이용했기 때문에 IP 주소를 외우지 않더라도 도메인을 통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자료

0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AsacKan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AsacKan
AsacK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