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란 무엇인가요?

- DNS(Domain Name System)*는 인터넷에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시스템입니다.
우리가 자주 접하는 www.naver.com
, www.google.com
같은 주소가 모두 DNS를 통해 IP로 변환되어 접속됩니다.
왜 DNS가 필요할까?
컴퓨터는 통신할 때
192.168.1.1
같은 IP 주소를 사용하지만 사람은 숫자 IP를 기억하기 어렵기 때문에
www.example.com
같은 도메인 이름을 사용DNS는 이 도메인과 IP 주소를 매핑해주는 인터넷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합니다.
DNS의 동작 과정
1️⃣ 브라우저에 www.example.com
입력
2️⃣ 로컬 DNS 캐시 확인 → 없으면 DNS 서버로 질의
3️⃣ DNS 서버가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 반환
4️⃣ 브라우저가 IP를 통해 웹 서버와 통신
DNS의 계층 구조
DNS는 전 세계적으로 분산된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각 단계가 협력하여 도메인을 IP로 변환합니다.
1. Root DNS (루트 DNS 서버)
DNS 계층 구조의 최상위 레벨
전 세계적으로 13개의 루트 서버 클러스터 존재 (
.
, A–M)직접 IP를 반환하지 않고, “어떤 TLD 서버에 물어봐야 하는지” 안내
💡 예시:
www.example.com
→ 루트 DNS: “.com
TLD 서버에 물어봐!”
2. TLD DNS (Top Level Domain 서버)
.com
,.net
,.org
, 국가 코드.kr
,.jp
같은 TLD 관리루트 서버로부터 질의를 받아 해당 도메인의 권한 DNS 서버 정보를 반환
💡 예시:
.com
TLD → “example.com
의 권한 DNS는 ns1.exampledns.com”
3. Authoritative DNS (권한 DNS 서버)
도메인의 최종 IP 주소를 보관하는 서버 (정답을 가진 서버)
도메인 등록 시 지정하는 네임서버(NS)가 여기 해당
요청한 도메인의 실제 IP 주소를 반환
💡 예시:
Authoritative DNS → www.example.com
→ 93.184.216.34
4. Recursive DNS (재귀 DNS 서버)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 루트 → TLD → Authoritative 순으로 대신 탐색 (조회해주는 서버)
ISP(통신사)나 회사 네트워크에서 제공
결과를 일정 시간(Cache TTL) 동안 저장해 다음 요청을 빠르게 처리
💡 예시:
브라우저 → OS DNS → ISP Recursive DNS → 루트 → TLD → Authoritative → IP 반환
DNS의 장점
사람이 읽기 쉬운 도메인으로 접근 가능
IP가 바뀌어도 도메인만 유지하면 서비스 연결 가능
전 세계적으로 분산돼 있어 빠르고 안정적인 구조
이미지 출처 : https://www.geeksforgeeks.org/computer-networks/difference-between-dns-and-dhcp/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갱갱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