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선 교환 방식과 패킷 교환 방식

갱갱갱갱
2 min read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전달하는지에 따라 회선 교환 방식(Circuit Switching)패킷 교환 방식(Packet Switching)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방식을 사용하는 네트워크를 각각 회선 교환 네트워크, 패킷 교환 네트워크라고 부릅니다.

두 방식은 구조와 효율성, 용도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실제 우리가 사용하는 통신 서비스에도 각각 적용되고 있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 (Circuit Switching)

회선 교환 방식은 통신을 시작하기 전에 송신자와 수신자 간에 전용 회선을 먼저 설정하고, 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입니다.

‘회선을 설정한다’는 말은 ‘두 호스트가 연결되었다’, ‘전송로를 확보했다’는 말과 같습니다.

회선 교환 방식 1

위의 그림에서 A와 B가 통신하려고 한다면, 메시지를 주고받기 전에 A와 B 사이를 연결하는 회선을 설정해야 하고, 이후 해당 경로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 특징

  • 연결 지향형: 통신 전에 회선을 먼저 설정

  • 전용 경로 사용: 통신이 끝날 때까지 같은 경로 유지

  • 일정한 지연 시간: 연결 후에는 전송 지연이 거의 없음

  • 낮은 효율성: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도 회선을 점유

  • 신뢰성 높음: 전송 중 데이터 손실 거의 없음

✅ 사용 예

  • 유선 전화망(PSTN)

  • 아날로그 통신 시스템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패킷 교환 방식은 회선 교환 방식의 비효율적인 점을 개선한 방식으로, 전송할 데이터를 작은 단위의 패킷(Packet)으로 나눈 뒤, 각 패킷을 독립적으로 전송하고 목적지에서 다시 재조합하는 방식입니다.

패킷 교환 방식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는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두 호스트가 하나의 전송 경로를 독점하지 않기 때문에, 네트워크 자원 활용 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습니다.


✅ 특징

  • 비연결형 또는 연결형 모두 가능: TCP(연결형), UDP(비연결형)

  • 동적 라우팅: 각 패킷이 최적 경로로 독립적으로 전송됨

  • 가변 지연 시간: 네트워크 혼잡도에 따라 지연이 발생할 수 있음

  • 높은 효율성: 네트워크 자원을 공유하므로 유연하고 확장성 뛰어남

  • 신뢰성 보완 필요: 패킷 손실, 순서 변경 가능성 → TCP 프로토콜 등으로 보완

✅ 사용 예

  • 인터넷, 웹 서비스(HTTP, FTP 등)

  • 이메일, 영상 스트리밍, 실시간 채팅 등 대부분의 디지털 서비스


참고 자료

0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갱갱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갱갱
갱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