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rastructure as Code(IaC) 알아보기

클라우드 환경이 확산되면서 서버,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구성 등 모든 인프라 리소스를 코드로 정의하고 관리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Infrastructure as Code(IaC) 는 수동 작업이 아닌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관리하고 프로비저닝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IaC를 사용하면 인프라 사양이 코드 형태의 구성 파일로 정의되기 때문에, 구성을 수정하거나 배포하는 작업이 더욱 수월해집니다.
또한 IaC는 항상 동일한 환경을 반복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보장하며, 구성 내용을 코드화하고 문서화함으로써 변경 이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비정형적인 설정 변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IaC란 무엇인가?
IaC(Infrastructure as Code)는 말 그대로 인프라를 코드처럼 다루는 방식입니다.
기존에는 서버를 설치하거나 설정할 때 대부분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고, 문서나 구두를 통해 환경을 공유하거나 직접 설정을 맞춰야 했습니다. 이 방식은 일관성 유지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IaC를 활용하면 서버 사양, 네트워크 구성, 보안 설정 등의 인프라 요소를 코드로 정의하고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구나 동일한 환경을 쉽게 재현할 수 있습니다.
IaC의 종류: 선언형 vs 명령형
선언형(Declarative)
최종 상태만을 정의하면, 그 상태에 도달하는 과정은 도구가 자동으로 처리합니다.
대표적인 도구: Terraform, AWS CloudFormation, Kubernetes YAML
resource "aws_instance" "example" { ami = "ami-12345678" instance_type = "t2.micro" }
명령형(Imperative)
인프라를 구성하는 작업의 순서를 사용자가 직접 명시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인 도구: Ansible, Shell Script
#!/bin/bash aws ec2 run-instances --image-id ami-12345678 --instance-type t2.micro
IaC의 장점
항목 | 설명 |
비용 절감 | 반복 작업을 자동화하여 인건비와 클라우드 자원 사용 비용을 줄일 수 있음. |
배포 속도 향상 | 테스트나 운영 환경을 빠르게 구성할 수 있어 전체 개발 사이클이 단축됨. |
오류 감소 | 수작업으로 인한 실수를 줄이고, 검증된 코드 기반으로 안정적인 인프라를 구성할 수 있음. |
일관성 확보 | 동일한 코드로 동일한 환경을 구성하므로, 개발-테스트-운영 간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음. |
변경 이력 관리 | Git 등 버전 관리 도구와 연동하여 구성 변경 이력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음. |
IaC의 단점
항목 | 설명 |
학습 곡선 | Terraform, CloudFormation 등의 도구는 학습이 필요하며, 인프라 지식 없이 접근하면 오히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복잡한 구조 관리 | 대규모 시스템의 경우 리소스 간 의존성이 복잡해지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음. |
디버깅 어려움 | 코드 기반 배포는 실패 시 원인 파악이 어려울 수 있어, 로그나 상태 추적이 필요함. |
상태 관리 이슈 | Terraform 등의 도구는 상태 파일로 인프라 상태를 관리하는데, 파일 손상이나 협업 충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
보안 위험 | 코드에 민감한 정보(비밀번호, 키 등)가 포함될 경우 노출 위험이 있으며, 이를 Git에 커밋하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함. |
참고 자료 : https://btcd.tistory.com/262
Subscribe to my newsletter
Read articles from 갱갱 directly inside your inbox. Subscribe to the newsletter, and don't miss out.
Written by
